1.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
첫 번째 영아들이 사용하는 놀잇감은 얼마나 자주 세척하시나요?
각반에서 하는 것을 말씀하시면 됩니다. 저 희원은 매일 소독액으로 소독하고 오염된 교구는 당일 세척과 매주 금요일에는 물세척 및 소독기를 사용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사용한 여분의 침구는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사용한 당일에 세탁을 하고 지퍼백에 넣어서 보관을 합니다.
세 번째 공기청정기는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가원에서 어떻게 관리하시는지 말하시면 됩니다. 저 희원은 본사에서 2개월에 한 번씩 정기 방문하셔서 소독하시고 필터 교치 및 청소 관리를 받고 매주 금요일에는 각반 필터 세척을 하고 있습니다.
네 번째 식품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지침의 내용을 알고 있나요? 알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지침의 내용을 부모와 보호자에게 어떤 방법으로 안내를 하셨나요?
영아들이 3월 등원 전 알레르기 안내문과 조사서를 가정에 배부하여 받은 후 알레르기가 있는 영유아를 체크하고 대체식, 제거식 여부에 대해 안내하는데 현재 알레르기 있는 영아가 저희 원에는 없습니다.
2. 급. 간식
첫 번째 당일 급 간식의 배식을 완료한 후 남은 음식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당일에 폐기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전날 조리된 음식이 재배색된 경우가 있나요? 없습니다.
3.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관리
첫 번째 아픈 영유아가 발생하거나 다쳤을 경우 보호자에게 어떻게 알려주시나요?
원장님과 주임교사에게 보고 후 담임교사가 부모님께 연락합니다.
두 번째 견학, 산책 등 외부활동 시 실외용 비상약품을 별도로 구비하여 지참하나요?
반별로 실외용 구급가방이 별도로 준비되어 있으며 외부 할 동 시 가지고 나갑니다.
세 번째 영유아가 다쳤을 경우 어떻게 조치하시나요?
응급처치 후 원장님께 보고하고 부모님께 전화를 드립니다.
네 번째 일과 내에서 영유아에게 건강. 영양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나요? 제공합니다.
다섯 번째 일과 중 관련 교육을 자연스럽게 실시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나요?
식사시간 전 손을 씻고 편식하지 않기, 바깥놀이 전. 후 손 씻기 시간등 이야기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여섯 번째 영아에게 개별 또는 소집단으로 건강, 영양과 관련하여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나요?
일상적인 양육을 통해 건강, 영양에 대한 교육을 수시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일곱 번째 최근 1년간 이내에 건강. 영양 관련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나요?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었나요?
집합교육 또는 온라인 교육에 참여했습니다. 식습관, 건강증진, 음식 알레르기에 관련된 내용이었습니다.
여덟 번째 건강, 영양교육을 받고 영유아 보육과정 운영이나 일상생활 지도에 적용해 보았나요?
놀이 시 관련 놀잇감을 갖고 자연스럽게 상호작용으로 하거나 그림, 자신을 제시하여 자연스럽게 접하게 하고 거부하는 음식이 있다면 교사가 먼저 먹는 모습을 보이며 우리 몸에 어떻게 좋은지 이야기를 통해 알려주었습니다.
아홉 번째 부모가 감염병에 걸린 영유아를 등원시킬 경우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영아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일단 격리조치를 하고 원장님께 보고를 하고 부모님에게 전화로 연락을 합니다. 부모가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락이 될 때까지 보육교직원의 돌봄을 받으며 격리를 하고 있습니다. 감염병이 걸렸을 경우에 등원이 어려운 점을 안내해 드리고 이후에 영유아 등원 시 다시 한번 안내 후 귀가조치를 합니다.
열 번째 영유아가 감염병에 걸렸다고 의심되는 경우 어떻게 대처하나요?
영유아를 즉시로 격리하고 귀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진료 후 완치하였다는 의사 소견서를 지참해야 등원이 가능합니다.
시청에 연락하고 가정통통신문에 안내를 한 후 어린이집을 소독합니다.
열한 번째 원장이나 교사 자신이 감염병에 걸린 경우 어떻게 대처하나요?
원장님께 보고한 후 병원진단을 하고 격리 조치 후 완치 소견서를 제출한 후 다시 출근합니다.
댓글